본문내용 바로가기 상단메뉴 가기

로딩바
0 %



아하 무브먼트 레퍼토리, 아하비안 나이트: -다움

무용공유

아하 무브먼트 레퍼토리, 아하비안 나이트: -다움

* 최종수정 : 2024.12.16 정보수정요청
  • 공연기간
    2024.12.20(금) ~ 2024.12.20(금)
  • 공연장소
    M극장
  • 공연시간
    금요일(20:00)
  • 관람연령
    만 7세 이상
  • 티켓가격
    • 전석 30,000원
  • 출연진
    나혜영, 서동솔, 임예지
  • 제작진
    강정환, 하지혜, 손성현 등
  • 기획·제작
    해당정보 없음

목록 보기

[공연소개]

‘아하비안 나이트’는 아라비아 민화를 모은 ‘아라비안 나이트’의 다양한 이야기 구조에서 영감을 받아, 아하무브먼트의 다채로운 작품과 이야기를 전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아 지어졌습니다. 아하 무브먼트의 레퍼토리 기획공연 '아하비안 나이트'는 소속 아티스트들의 창작 세계를 지속적으로 소개하기 위한 첫 걸음이 될 것입니다.

1) 빈, been
안무 및 출연 : 나혜영
기획 의도
작품 〈빈, been〉은 인간의 본능적인 인정 욕구와 과시 욕구가 현대 사회에서 어떻게 소비되고 상품화되는지를 탐구합니다. 타인에게 인정받고자 하는 욕망은 미디어와 SNS 등 외적 기준을 통해 강화되며, 이는 개인의 본질을 왜곡하고 소모하게 만듭니다.

작품은 이러한 과정을 무대 위에서 시각화하며, 인간의 과시적 본성이 사회적 기대와 상업적 프레임 속에서 어떻게 형성되고 소멸되는지를 조명합니다. 관객들은 과시와 본질의 균형을 잃어가는 모습을 통해 자신 역시 타인의 시선과 사회적 기준에 의해 본성을 잃어가고 있음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결국, 작품은 이러한 욕망과 소비의 구조 속에서 진정한 정체성을 찾기 위한 내적 탐구의 필요성을 환기시키고, 본질을 회복하는 과정의 중요성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자 합니다.

작품 내용
신문지를 두른 채 빛 속에 선다.
빛은 속삭인다.
“더 찬란히,
더 눈부시게,
더 높이.”

구겨진 틈새로 비추는 흩어진 속삭임이
찢겨지고 흔들린다.

껍질이 떨어지고, 마침내 쥐어본다.
“가장 고요히,
가장 선명하게,
가장 진실로.”

2) 카모플라쥬
안무 및 출연 : 서동솔
-기획 의도
작품 [카모플라쥬] 는 '인간은 누구나 위장 하고 살아간다' 라는 주제로 현대 사회를 살아가며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고충과 스트레스 등 다양한 심리를 풀어낸 작품이다. 인간 외에도 모든 동물과 곤충 등 살아있는 생명체들은 모두 적의 공격을 피라거나 혹은 공격하기 위해서 위장을 하고 살아간다. 어쩌면 지금 현대인들은 마치 소라로 위장하는 소라게와 같이 살아 남기 위하여 위장을 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고 위장은 바로 생명체들의 가장 원초적인 삶의 형태이며 방식이다 라는 호기심을 가지며 작업하였다. 작품 [카모플라쥬] 에서는 현대 사회의 사회 생활 속에서 현대인들이 가지는 심리적 압박감과 자기 증명에 대하여 이야기 하고자 한다.

- 작품 내용
남들 앞에서 완벽한 모습으로 위장 한 채 살아가는 나.
누구에게도 들키기 싫은 모습들을 마음 속에 숨긴 채 살아간다.
시간이 지날수록 완벽했던 위장이 흐트러지고 희미해져도
엉성한 모양새로 어떻게든 숨겨보려 노력한다.
위장은 생존의 법칙이자 살아가기 위한 근본적인 삶의 방식이다.
'인간은 누구나 위장을 한다'.

3) 빽 팩
안무 및 출연 임예지
기획의도
근사한 성취만을 내세우는 세상에서 쫓기듯 숨 가쁘게 살다 보면 종종 나 자신을 잃은 듯한 기분이 든다. 치열한 경쟁과 바쁜 일상에 밀려 깊숙이 묻혀버린 나의 내면을 꺼내고 바라보며 다시없을 고유하고 유일한 순간들에 집중해 보고자 한다. 이 작업을 통해 과연 주체적인 삶과 온전한 나로 살기란 무엇인가에 대해 질문한다.

작업소개
작품 〈빽 팩〉에서 백팩은 내 삶이자 늘 나와 함께 동행 하는 동반자의 역할로서 존재한다.
서로의 영향을 주고받으며 나타나는 현상들과 보여지는 관계 속에서 삶의 여러 형태를 엿볼 수 있다.
그 과정에서 나의 모습들을 발견하고 찬찬히 들여다본다.

  • · 최종집계일자
  • · 연관통계정보는 해당 공연시설에서 해당공연의 예매/취소 데이터를 최근 1년전부터 전일 기준까지 집계하여 제공합니다.
  • · 전산발권 되지 않은 티켓(수기티켓 등)은 집계에서 제외되므로 실제 상연횟수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